맨위로가기

라텐 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텐 문화는 기원전 650년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중앙 유럽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이다. 할슈타트 문화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정교한 금속 공예 기술과 독특한 예술 양식을 특징으로 한다. 라텐 문화는 켈트족과 연관되어 있으며, 초기에는 알프스 북부 지역에서 시작되어 서유럽, 중부 유럽, 심지어는 이탈리아, 발칸 반도, 소아시아까지 확장되었다.

라텐 문화는 금속 유물의 유형학적 분석을 통해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되며, 주요 유물로는 빅스 크라테르, 군데스트루프 가마솥, 배터시 방패 등이 있다. 지중해 세계와의 활발한 무역을 통해 그리스, 에트루리아 등지의 문물을 수입했으며, 사회는 족장의 언덕 요새를 중심으로 하는 개방된 정착지에서 점차 도시(오피둠)로 발전했다.

최근 유전학적 연구에 따르면 라텐 문화의 사람들은 이전의 종형 토기 문화 및 얌나야 문화와 유전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켈트족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텐 문화 - 오피둠
    오피둠은 켈트족 라 텐 문화의 대규모 요새화된 정착지를 지칭하는 용어로, 갈리아 전쟁 당시 경제적,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유럽 각지에서 다양한 특징을 가진 유적이 발견된다.
  • 라텐 문화 - 워털루 투구
    워털루 투구는 템스 강에서 발견된 철기 시대 투구로, 뿔 장식이 달린 유럽 유일의 사례이며, 의례용으로 추정되어 켈트족 문화 연구에 기여하지만, 켈트족 전사 이미지 왜곡을 야기하기도 한다.
  • 켈트 고고문화 - 할슈타트 문화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12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유럽에서 번성했던 청동기 시대 후기 및 초기 철기 시대의 문화로, 소금 광산 덕분에 발전했으며 그리스와의 교역, 요새화된 정착지를 중심으로 사회가 구성되었고, 매장 방식과 예술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이는 서부와 동부 지역으로 나뉜다.
  • 켈트 고고문화 - 골라세카 문화
    골라세카 문화는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전 4세기까지 포강 북쪽 지역에서 번성했던 철기 시대 문화로, 에트루리아 및 할슈타트 문화와의 교역, 독특한 매장 풍습, 레폰티어 문자 사용, 그리고 켈트족과의 연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 유럽의 철기 문화 - 루사티아 문화
    루사티아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트슈치니에츠 문화에서 기원하여 철기 시대 유럽 사회 정치적 네트워크에 통합되었으며, 폴란드, 독일, 체코 등 중앙 유럽에 걸쳐 화장 매장, 요새화된 정착지 건설, 경작 농업 등의 특징을 보인다.
  • 유럽의 철기 문화 - 할슈타트 문화
    할슈타트 문화는 기원전 12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유럽에서 번성했던 청동기 시대 후기 및 초기 철기 시대의 문화로, 소금 광산 덕분에 발전했으며 그리스와의 교역, 요새화된 정착지를 중심으로 사회가 구성되었고, 매장 방식과 예술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이는 서부와 동부 지역으로 나뉜다.
라텐 문화
문화 개요
아르베르니족의 카르닉스 (기원전 2세기경)
이름라텐 문화
원어표기culture de La Tène
지역유럽
시대철기시대
연대기원전 450년 - 기원전 1년경
표지 유적라텐
이전 문화할슈타트 문화
이후 문화로마 공화국, 로마 제국, 로마령 갈리아, 로마령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 게르마니아, 라에티아, 노리쿰
개요
연대기원전 450년경 – 기원전 1세기경
위치서유럽/중부 유럽
관련 정보

2. 역사

246x246px


라텐 문화는 이전 할슈타트 문화의 마지막 단계(HaD, 기원전 650-450년경)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기존 할슈타트 문화 지역의 서쪽 가장자리에서 처음 나타나는 라텐 양식의 엘리트 유물을 통해 확인된다.[52][16]

라텐 문화가 처음 발달한 정확한 지역에 대해서는 학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대체로 문화의 중심지가 알프스 산맥 북쪽, 서쪽으로는 마른 강(Marne)과 모젤 강(Moselle) 계곡 및 인근 라인란트 일부, 동쪽으로는 현재의 바이에른, 체코, 오스트리아, 스위스에 걸쳐 있던 옛 할슈타트 핵심 지역의 서쪽 끝에 형성되었다고 본다. 이 동쪽 지역은 알자스와 함께 초기 라텐 시기에 다소 분리된 "동부 양식 지방"을 이루었다.[53][16] 1994년에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북동쪽, 헤세의 글라우베르크에서 기원전 5세기 초의 중요한 엘리트 무덤군이 발굴되었는데, 이 지역은 이전까지 라텐 문화의 핵심 지역에서 벗어난 주변부로 여겨졌다.[17][39] 라텐 유적지 자체는 원래 핵심 지역의 남쪽 가장자리 근처에 위치한다.[53]

기원전 6세기경 프랑스 지중해 연안에 마르세유(Massalia) 그리스 식민지가 건설되면서 론 강과 손 강 유역의 할슈타트 지역과 활발한 교역이 이루어졌다. 부르고뉴의 빅스 무덤과 같은 초기 라텐 엘리트 매장지에서는 이러한 교역을 통해 들어온 수입 사치품과 함께 현지에서 제작된 유물이 발견된다.[54][18] 당시 사회는 언덕 요새에 거주하는 부족장들이 각 지역을 통치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작은 마을이나 농가에서 생활했던 것으로 추정된다.[54][18]

기원전 500년경 에트루리아인이 북부 이탈리아켈트족과 접경하게 되면서, 알프스 산맥을 통한 교역이 그리스와의 론 강 교역 경로를 대체하기 시작했다.[19] 철광석이 풍부했던 라인 강 중부, 마른 강과 샹파뉴 지역, 그리고 보헤미아 등이 새로운 번영 지역으로 떠올랐다. 이 지역들은 지중해와의 직접적인 교역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러한 교역 관계와 부의 축적이 라텐 양식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 구체적인 정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다. 라텐 양식에는 지중해에서 유래한 모티프가 일부 확인되지만, 완전히 의존적인 것은 아니었다.[19]

배리 컨리프(Barry Cunliffe)는 기원전 5세기에 라텐 문화 내에서 두 개의 주요 "권력과 혁신의 구역"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서쪽의 마른-모젤 구역은 중앙 알프스 고개와 골라세카 문화를 통해 포 계곡과 교역했고, 동쪽의 보헤미아 구역은 동부 알프스 루트와 아드리아 해 베네티 문화를 통해 아드리아 해와 연결되었다.[55][20]

켈텐 박물관(Keltenmuseum)에 전시된 오스트리아 할라인 출토 검과 투구


기원전 4세기부터 라텐 문화는 대규모 이주와 함께 급격히 확산되었다. 이 시기 켈트족은 현재의 프랑스, 독일, 중부 유럽을 넘어 히스파니아, 이탈리아 북부 및 중부, 발칸 반도, 심지어 소아시아까지 진출했다.[56][21] 비슷한 시기에 영국아일랜드에서도 라텐 양식의 유물이 나타나기 시작하지만, 섬 지역의 '인슐라 라텐' 예술은 대륙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이며, 유물 분포도 지역적으로 제한적이다.[56][21] 이러한 확산이 전적으로 대규모 인구 이동의 결과만은 아니며, 문화적 전파 등 다른 요인들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57][22]

기원전 400년경부터는 지중해와의 교역 증거가 줄어든다. 이는 켈트족 인구가 남쪽과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에트루리아 문명이나 로마 등 기존 세력과 충돌하기 시작했기 때문일 수 있다.[23] 이 시기 라텐 문화의 중심지에서는 정착 생활이 불안정해지고 전쟁이 빈번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23]

2. 1. 시대 구분

라텐 문화의 역사는 전통적으로 금속 유물의 유형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대가 구분된다. 오토 티슐러는 1885년 처음으로 라텐 문화를 "초기", "중기", "후기"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49] 이후 파울 라이네케는 1902년에 이를 더욱 세분화하여 네 개의 하위 시기(La Tène A, B, C, D)로 나누었으며, 현재 고고학계에서는 주로 라이네케의 구분을 따른다.[15][51]

티슐러 (1885)라이네케 (1902)시기
라텐 I라텐 A기원전 450–380년
라텐 I라텐 B기원전 380–250년
라텐 II라텐 C기원전 250–150년
라텐 III라텐 D기원전 150–1년



이러한 시대 구분과 연대 설정에는 유물 자체의 양식 변화뿐만 아니라, 함께 발견되는 연대 측정이 가능한 고대 그리스 도자기나 연륜연대학, 열발광 연대측정과 같은 과학적인 분석 방법들이 활용된다. 유력자의 묘에서 발견되는 외래 부장품들은 무역을 통한 광범위한 문화 접촉이 있었음을 보여주며, 에트루리아, 고대 이탈리아, 그리스, 다키아, 스키타이 문화에서 받은 양식적 영향을 라텐 유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로마의 점령으로 라텐 문화는 크게 변화했지만, 그 요소들은 이후 갈로-로마 및 로마-브리튼 문화 속에 상당 부분 남아 계승되었다.[13][49] 라텐 문화는 물질문화를 공유하며 넓은 지역으로 퍼져나갔지만, 이것이 단일한 사회-정치적 통합체로 이어진 것은 아니었다. 또한 라텐 문화의 물질 문화가 특정 언어 집단과 어느 정도까지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학계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4][50]

2. 2. 켈트족과의 관계

라 텐 문화의 주요 담당자들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기록에서 켈트족 또는 골족으로 알려진 사람들이었다. 고대 켈트 문화는 자체적인 문자 기록을 남기지 않았으나, 그리스어나 라틴 문자로 쓰인 드문 금석문 자료를 통해 유럽 대륙 켈트어의 일부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이 문화권에 대한 현재의 지식은 주로 세 가지 출처에서 얻어진다. 첫째는 고고학적 증거, 둘째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문헌 기록, 셋째는 전통적인 켈트족 거주 지역인 서유럽에서 라 텐 예술과 문화의 흔적을 보여주는 민족학적 증거이다.

고고학적으로 라 텐 물질 문화와 연결되는 사회 중 일부는 기원전 5세기부터 그리스와 로마 작가들에 의해 '켈토이'(켈트족)와 '갈리'(골족)로 기록되었다. 헤로도토스는 그의 저술(iv.49)에서 '켈토이'가 다뉴브강의 발원지에 살고 있다고 정확히 기술했는데, 이는 라 텐 물질 문화의 중심지에 해당한다.[24]

프랑스 루아시에서 발견된 라텐 양식의 청동 마차 부속품


그러나 고대 문헌 기록만으로 라 텐 문화 전체를 단일한 켈트족의 문화로 단정하기는 어렵다. 고고학자들은 언어, 물질 문화, 정치적 소속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복해서 지적해왔다. 프레이(Frey, 2004)는 기원전 5세기경 "켈트 세계의 매장 관습은 획일적이지 않았고, 오히려 지역화된 그룹이 고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결과 독특한 예술적 표현을 낳았다"고 언급했다. 또한, 라텐 문화의 고고학 유물로 여겨지는 것들이 슬라브 문화권에서도 발견되기 때문에, 라텐 문화를 켈트족만의 것으로 특정하는 것은 조심스러운 문제이다.

2. 3. 로마와의 충돌과 쇠퇴

기원전 400년경 켈트족 인구가 남쪽과 서쪽으로 이주하면서 로마를 포함한 기존 인구와 충돌하기 시작했다.[23] 이 시기 라텐 문화의 중심지에서는 정착 생활이 불안정해지고 전쟁이 빈번해진 것으로 보인다.[23]

기원전 387년경에는 브렌누스가 이끄는 켈트족이 알리아 전투에서 로마군을 격파하고 로마를 약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3] 이 사건으로 켈트족은 로마에게 가장 큰 위협 세력으로 인식되었으며, 이후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 정복(기원전 58년-50년)까지 로마-갈리아 전쟁이 이어졌다.[23]

로마는 켈트족의 남하를 저지했지만, 아드리아 해 건너편에서는 일부 켈트족 집단이 발칸 반도를 거쳐 그리스까지 진출하여 기원전 279년에는 델포이를 공격하기도 했으며,[23] 아나톨리아에는 갈라티아라는 켈트족 정착지가 세워지기도 했다.[23]

기원전 275년경부터 로마는 갈리아 키살피나를 정복하며 라텐 문화권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23] 기원전 121년에는 갈리아 켈티카 정복이 이루어졌고, 최종적으로 기원전 50년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이끈 갈리아 전쟁을 통해 갈리아 전역이 로마에 복속되었다.[23]

아바리쿰 포위전, 프랑스, 기원전 52년


정복 이후 갈리아 문화는 로마 문화에 빠르게 흡수되었고, 이는 후기 고대의 혼합된 갈로-로마 문화로 이어졌다.[23]

3. 물질 문화

라텐 문화의 물질 문화는 기술적으로 할슈타트 문화에서 발전한 청동, 철, 금 금속 가공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들의 금속 세공은 정교한 청동 그릇, 투구, 방패, 말 장식, 그리고 토르크라고 불리는 목걸이나 비골이라 불리는 정교한 걸쇠 같은 엘리트 장신구에서 잘 드러난다. 특히 복잡한 나선형 무늬나 땋은 듯 얽힌 무늬(인터레이스)를 새겨 넣는 것이 특징이다. 라텐 예술은 할슈타트 문화의 전통적인 기하학적 패턴 위에, 우아하고 양식화된 곡선 형태의 동물 및 식물 문양을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라텐 예술과 문화의 초기 양식은 주로 정적이고 기하학적인 장식을 특징으로 했으나, 점차 발전하면서 트리스켈리온과 같이 움직임을 표현하는 형태로 변화했다. 발전된 양식 안에서도 세부적인 디자인 경향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발달게스하임 양식에서는 구불구불한 스크롤 무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25]

초기 라텐인들은 족장의 힐포트가 중심이 된 개방된 정착지에서 살았으며, 이후 중기에는 오피둠이라 불리는 도시 형태의 정착지가 발달했다. 이들의 주거지는 주로 석조 건축보다는 목조 건축으로 지어졌다. 매장지에서는 무기, 수레, 귀중품 및 일상용품 등이 부장품으로 함께 발견되는데, 이는 사후 세계에 대한 강한 믿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진다.[26] 정교한 부장품들은 당시 라텐 문화가 광범위한 교역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하기도 한다. 라텐 문화의 특징적인 유물들은 스칸디나비아, 북부 독일, 폴란드, 발칸 반도 등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3. 1. 주요 유물

라텐 문화의 중요한 유물은 다음과 같다.

  • 므셰츠케 제호비체 머리: 현재 체코에서 발견된 석상 머리.
  • 글라우베르크 매장지 위에 세워진 전사의 실물 크기 조각상.
  • 라 고르주 메예 (생제르맹앙레: 국립 고고학 박물관)에서 발견된 전차 매장.
  • 바스 유츠 플라곤: 5세기 유물.
  • 아그리스 투구: 으로 덮여 있으며, 기원전 350년경 제작.
  • 발달게스하임 전차 매장: 독일 바트 크로이츠나흐에서 발견된 기원전 4세기 말의 엘리트 전차 매장. 이곳에서 발견된 보석류에서 예술의 "발달게스하임 양식"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 (본 라인 지방 박물관 소장)
  • 만칭 오피둠에서 발견된 참나무 모형 (기원전 3세기).
  • 프랑스 남부의 성소인 로크페르튀즈의 조각상.
  • 군데스트루프 솥: 기원전 2세기 또는 1세기 유물. 덴마크 군데스트루프 근처의 이탄 습지에서 의례적으로 파괴된 채 발견되었으나, 흑해 근처, 어쩌면 트라키아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덴마크 국립 박물관, 코펜하겐 소장)
  • -
  • 배터시 방패: 기원전 350–50년경 제작. 런던 템스강에서 발견되었으며, 붉은 유리질 에나멜이 칠해진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대영 박물관, 런던 소장)

배터시 방패, 영국, 기원전 350–50년경

  • 워털루 투구: 기원전 150–50년 제작, 템스강에서 발견.
  • 위덤 방패: 기원전 4세기 제작. (대영 박물관, 런던 소장)[43][44]
  • 체르트시 방패: 기원전 400년 - 200년 제작. (대영 박물관, 런던 소장)[45]
  • 토르스 포니-캡과 뿔: 스코틀랜드에서 발견.
  • 코르도바 보물
  • 터로 스톤과 골웨이의 킬리클러긴 스톤: 아일랜드에서 발견.
  • 스네티샴의 대 토크: 기원전 100–75년 제작된 금 토크. 영국 양식의 토크 중 가장 정교하다.
  • 메이릭 투구: 로마 정복 이후의 투구 모양이지만 라텐 문화 장식이 특징이다.
  • 노릭 강철
  • 슈트레트베크 카트: 기원전 7세기 유물. 오스트리아 남동부에서 출토된 사륜 마차로, 여신상과 기수상 등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라츠 요아네움 박물관 소장)
  • 빅스 크라테르: 빅스 무덤에 매장된 여성 유물과 함께 발견된 거대한 그리스제 청동 크라테르(와인 혼합 용기). 용량은 1100L에 달한다.
  • -

3. 2. 무역과 교류

프랑스 지중해 연안에 마르세유(Marseille)의 그리스 식민지가 건설되면서, 론 강(Rhone)과 손 강(Saone) 수계를 통해 할슈타트 문화 지역과의 교역이 활발해졌다.[18] 부르고뉴의 빅스 무덤과 같은 초기 라텐 시대 엘리트 매장지에서는 현지에서 생산된 유물과 함께 수입된 사치품이 발견되어 교역의 증거를 보여준다.[18] 예를 들어, 기원전 6세기 빅스 무덤의 엘리트 여성은 그리스에서 만들어진 매우 큰 청동 "와인 믹서"와 함께 매장되었다.

기원전 500년경 에트루리아인이 북부 이탈리아의 켈트족과 국경을 접하게 되면서 알프스 산맥을 통한 교역이 그리스와의 교역을 따라잡기 시작했고, 론 강 경로는 점차 쇠퇴했다.[19] 철광석이 풍부했던 라인 강 중부, 마른 강(Marne)과 샹파뉴(Champagne) 지역, 그리고 보헤미아 등도 번성했지만, 이 지역들에서는 지중해 지역과의 직접적인 교역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했다.[19] 교역 관계와 이를 통해 축적된 부는 라텐 양식의 기원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 정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의가 진행 중이다.[19] 배리 컨리프(Barry Cunliffe)는 기원전 5세기에 두 개의 주요 교역 중심지가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서쪽의 마른-모젤 구역은 중앙 알프스 고개와 골라세카 문화를 통해 포 계곡과 교역했고, 동쪽의 보헤미아 구역은 동부 알프스 루트와 아드리아 해 베네티 문화를 통해 아드리아 해와 연결되었다.[20]

라텐 문화권에서 지중해 문화권으로 수출된 주요 품목은 소금, 주석, 구리, 호박, 양모, 가죽, 모피, 등이었다. 라텐 문화의 특징적인 유물들은 스칸디나비아, 북부 독일, 폴란드, 발칸 반도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이는 해당 지역들이 직접적으로 라텐 문화권에 속하지는 않았더라도, 무역을 통해 핵심 지역과 연결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들 지역의 해당 시기를 '라텐 시대'로 지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기원전 400년경부터는 지중해와의 교역 증거가 점차 희미해진다. 이는 확장하던 켈트족 인구가 남쪽과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에트루리아 문명이나 로마 등 기존 세력과 충돌을 일으켰기 때문일 수 있다.[23] 이 시기 라텐 문화의 중심지에서도 정착 생활이 불안정해지고 전쟁이 빈번해진 것으로 보인다.[23]

3. 3. 사회와 정착지

초기 라텐 사회의 사람들은 주로 유력자나 부족 추장이 지배하는 힐포트(언덕 요새)를 중심으로 한 개방된 정착지에 거주했다.[41][54] 인구 대부분은 시골의 작은 마을이나 농장에서 생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54] 라텐 문화 중기에 들어서면서 ''오피둠''이라고 불리는 요새화된 도시 형태의 정착지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라텐 시대의 주거지는 석조 건축보다는 목조 건축이 일반적이었다. 건물은 목수들이 지었으며, 돌보다는 나무를 주된 건축 자재로 사용했다.

종교 및 의례와 관련하여, 라텐인들은 부장품이나 때로는 인신 공양의 제물을 바치기 위한 의례용 수직갱(수혈)을 파기도 했다. 잘린 머리는 특별한 힘을 가진 것으로 여겨졌으며, 조각 등 예술 표현에서도 자주 나타나는 주제였다. 매장지에서는 무기, 수레, 엘리트 계층의 고급 물품 및 일상용품이 함께 발견되는데, 이는 라텐인들이 사후 세계와의 강한 연속성을 믿었음을 시사한다.[26]

251x251px


요새화된 오피둠의 분포


다음은 라텐 문화와 관련된 주요 오피둠 및 유적지 목록이다.

유적지 이름위치비고
알트부르크독일오피둠
베른 엥게할빈젤스위스오피둠
졸리몽스위스
만칭 오피둠독일오피둠
에렌부르크독일고지 요새
모르몽스위스
뮌징겐스위스매장지
페티네스카스위스
바젤 오피둠스위스
비브락테프랑스 부르고뉴 몽 뵈브레아에두이족의 오피둠
에르스트펠트 호드스위스
투리쿰–린덴호프스위스 취리히오피둠
Bopfingen독일Viereckschanze (사각형 토루 유적)
펠바흐-슈미덴독일 슈투트가르트 근처Viereckschanze (사각형 토루 유적); 우물에서 제례 물품 발견
로덴바흐독일공작 무덤
하브라노크슬로바키아
라이스베르크독일오피둠
곤돌프랑스오피둠
클라인아스퍼글레독일라텐 I 시기 엘리트 무덤
발달게스하임 전차 매장독일기원전 4세기 엘리트 전차 매장
글라우베르크독일오피둠 및 엘리트 무덤
뒤른베르크오스트리아 할라인 근처후기 할슈타트–초기 라텐 매장지 및 토공사
돈네르스베르크독일오피둠
슈타인스부르크독일오피둠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근처주거지 잔해
플라트 및 로젤도르프 근처 잔트베르크 켈트 도시오스트리아
빅스/몽 라소아프랑스오피둠 및 정교한 무덤
티텔베르크룩셈부르크오피둠
라인하임독일공주/여사제 무덤 (매장 유물 발견)
미하일로바츠세르비아
자비스트체코오피둠[30]
스트라도니체체코오피둠
뒨스베르크독일고지 요새
슈바르첸바흐오스트리아오피둠
호우비르크독일오피둠


4. 유형 유적

La Tène|라텐프랑스어 유적은 스위스 뇌샤텔 호수 북쪽 해안에 위치하며, 다른 호수로 연결되는 작은 강인 티엘 강이 뇌샤텔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 지점에 있다.[27] 1857년, 오랜 가뭄으로 호수 수위가 약 2m 낮아졌다. 호수 북쪽 끝, 강과 에파니에 마을 남쪽 지점 사이에서 프레데릭 슈바브 대령을 위해 유물을 찾던 한슬리 콥은 물속 약 50cm 깊이까지 뻗어 있는 여러 줄의 나무 말뚝을 발견했다. 콥은 이곳에서 약 40개의 철검을 수집했다.

185x185px


215x215px


스위스 고고학자 페르디난트 켈러는 1868년 스위스 말뚝 집에 관한 그의 영향력 있는 첫 보고서에서 이 발견을 발표했다. 1863년 그는 유적을 말뚝 위에 지어진 켈트족 마을로 해석했다. 뇌샤텔 출신 지질학자 에두아르 데소르는 곧 호숫가에서 발굴을 시작했다. 그는 이 유적을 호수 위에 말뚝으로 세운 플랫폼 위의 무기고로 해석했으며, 나중에 적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고 보았다. 날카롭게 갈지 않은 주철 검이 발견된 점을 근거로, 의식을 위한 제물 봉헌 장소라는 해석도 있다.

1868년부터 1883년까지 쥐라 수로 정비 사업으로 스위스 호수의 수위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낮추면서 유적지는 완전히 마른 땅이 되었다. 1880년, 마린-에파니에의 교사인 에밀 부가는 티엘 강(현재 자연 보호 구역)을 가로지르는, 원래 길이 100m가 넘는 두 개의 다리("퐁 데소르"와 "퐁 부가"로 명명됨)의 목조 잔해와 호숫가에 있던 5채의 집 잔해를 발견했다. 부가가 작업을 마친 후, 마린 박물관의 큐레이터 F. 보렐도 발굴을 시작했다. 1885년 칸톤 정부는 뇌샤텔 역사 협회에 발굴을 계속할 것을 요청했고, 그 결과는 같은 해 부가에 의해 출판되었다.

총 2500개 이상의 유물이 라텐에서 발굴되었으며, 대부분 금속으로 만들어졌다. 무기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166개의 검 (대부분 마모 흔적이 없음), 270개의 창머리, 22개의 방패 돌출부, 385개의 브로치, 도구, 전차 부품 등이 있다.[42] 수많은 사람과 동물의 뼈도 발견되었다. 이 유적은 기원전 3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200년경에 활동이 절정에 달했고 기원전 60년경에 버려진 것으로 추정된다.[28] 유적지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일부 학자들은 다리가 높은 물에 의해 파괴되었다고 믿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여성 장식품이 거의 없는 점을 들어 성공적인 전투 후 희생을 치르던 장소로 본다.

2007년 스위스 비엘/비엔의 슈바브 박물관에서 라텐 유적지 발견 15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가 열렸고, 이 전시는 2008년 취리히, 2009년 부르고뉴의 몽 뵈브레로 이어졌다.

라텐 문화를 대표하는 다른 주요 유적지는 다음과 같다.

유적지명위치특징
알트부르크독일오피둠
베른, 엥게할빈젤스위스오피둠
졸리몽스위스
만칭독일오피둠
에렌부르크독일고지 요새
모르몽스위스
뮌징겐스위스매장지
페티네스카스위스
바젤스위스오피둠
비브락테프랑스 부르고뉴아에두이족의 오피둠 (몽 뵈브레 소재)
에르스트펠트 호드스위스
투리쿰–린덴호프스위스 취리히오피둠
보프핑겐독일Viereckschanze (특징적인 사각형 울타리)
펠바흐-슈미덴독일 슈투트가르트 근처Viereckschanze, 우물에서 제례 물품 발견
로덴바흐독일공작 무덤
하브라노크슬로바키아
라이스베르크독일오피둠
곤돌프랑스오피둠
클라인아스퍼글레독일라텐 I 시기 엘리트 무덤
발달게스하임독일기원전 4세기 엘리트 전차 매장
글라우베르크독일오피둠 및 엘리트 무덤
뒤른베르크오스트리아 할라인 근처후기 할슈타트–초기 라텐 시기 매장지 및 토공사
돈네르스베르크독일오피둠
슈타인스부르크독일오피둠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근처주거지 잔해
잔트베르크 켈트 도시오스트리아 플라트, 로젤도르프 근처
빅스/몽 라소아프랑스오피둠 및 정교한 무덤
티텔베르크룩셈부르크오피둠
라인하임독일매장 유물이 있는 공주/여사제 무덤
미하일로바츠세르비아
자비스트체코오피둠[30]
스트라도니체체코오피둠
뒨스베르크독일고지 요새
슈바르첸바흐오스트리아오피둠
호우비르크독일오피둠



갈리아 농장, 베르베리, 프랑스

5. 유전학적 연구

282x282px


2018년 12월 ''PLOS One''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서는 프랑스 위르빌-나크빌의 라텐 시대 묘지에서 발굴된 45명의 유해를 조사했다. 이들은 골족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사된 개인들의 mtDNA는 주로 H와 U의 하플로타입에 속했다. 이들은 많은 양의 스텝 조상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고, 이전 종형 토기 문화의 사람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프랑스 사이에 유전적 연속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그레이트 브리튼 및 이베리아와의 상당한 유전자 흐름이 감지되었다. 연구 결과는 현대 프랑스인이 골족의 후손이라는 개념을 부분적으로 뒷받침했다.

2019년 10월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서는 프랑스 위르빌-나크빌과 현대 파리 근처 구르지 레 누아자(Gurgy 'Les Noisats')의 라텐 시대 유적지에서 각각 43개와 27개의 모계 유전자, 17개와 19개의 부계 유전자 계통을 조사했다. 조사된 개인들은 이전의 얌나야 문화, 끈 띠 토기 문화 및 종형 토기 문화의 사람들과 강한 유전적 유사성을 보였다. 그들은 스텝 조상과 관련된 다양한 모계 계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부계 계통은 "눈에 띄는 동질성"을 보이며 모두 스텝 조상과 관련된 R 및 R1b에 속했다.[36] 이 증거는 라텐 문화의 골족이 부계 사회였고 부계 거주 관습을 가졌음을 시사하며, 이는 고고학적, 문헌적 증거와도 일치한다.

2020년 6월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서는 라텐 문화에 속하는 25명의 유해를 조사했다. 추출된 9개의 개별 Y-DNA 샘플은 R1b1a1a2 (R-M269; 3개 샘플), R1b1a1a2a1a2c1a1a1a1a1 (R-M222), R1b1 (R-L278), R1b1a1a (R-P297), I1 (I-M253), E1b1b (E-M215), 또는 하플로그룹 R의 기타 미지정 하위분기군(subclade)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출된 25개의 mtDNA 샘플은 H, HV, U, K, J, V, W의 다양한 하위분기군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할슈타트 문화와 라텐 문화의 조사된 개인들은 유전적으로 매우 동질적이었으며, 이전의 종형 토기 문화와의 연속성을 보였다. 그들은 약 50%의 스텝 관련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

2022년 4월 iScience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에서는 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프랑스의 27개 유적지에서 49개의 게놈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두 시대 사이에, 특히 남부 프랑스에서 강한 유전적 연속성의 증거를 발견했다. 북부와 남부 프랑스의 샘플은 매우 동질적이었으며, 북부 샘플은 그레이트 브리튼과 스웨덴의 동시대 샘플과 관련이 있었고, 남부 샘플은 켈티베리아인과 관련이 있었다. 북부 프랑스 샘플은 스텝 관련 조상의 증가된 수준으로 인해 남부 샘플과 구별되었다. R1b는 압도적으로 가장 지배적인 부계 계통이었고, H는 가장 흔한 모계 계통이었다. 철기 시대 샘플은 현대 프랑스, 그레이트 브리튼 및 스페인의 인구와 유사했다. 이 증거는 라텐 문화의 골족이 주로 지역 청동기 시대 인구에서 진화했음을 시사했다.

참조

[1] 서적 Sarunas Milisauskas,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2] 서적 La grande storia dei Celti. La nascita, l'affermazione, la decadenza Newton & Compton 2003
[3] 문서 McIntosh
[4] 서적 Key to Northwest European Origins Author House 2012-03-22
[5] 간행물 Manufatti in ferro di tipo La Tène in area italiana : le potenzialità non-sfruttate http://www.persee.fr[...]
[6] 문서 The La Tène culture was present in the southwestern part of Slovakia, bordering on or overlapping with the [[Púchov culture]] of north/central Slovakia.
[7] 서적 Pannonia and Upper Moesia. A History of the Middle Danube Provinces of the Roman Empire Routledge & Kegan Paul 1974
[8] 문서 Croatia was part of the Eastern Hallstatt zone, and the [[Illyrians]] of classical antiquity were culturally influenced both by Celtic (La Tène) and by Hellenistic culture.
[9] 문서 The La Tène culture of the Trans-Carpathian area: Is the migration model still relevant?
[10] 문서 Garrow
[11] 문서 Or just "La Tene" in English. More rarely also spelt "Latène" (especially in French adjectival forms) or "La-Tène". In German ''Latènezeit'' or ''La-Tène-Zeit'' equate to "La Tène culture"
[12] 문서 Megaw
[13] 문서 Megaw
[14] 문서 Laing
[15] 웹인용 Geschichte der Chronologie der Späten Eisenzheit in Mitteleuropa und das Paradigma der Kontinuität https://www.gko.uni-[...] 2008
[16] 문서 Megaw
[17] 웹인용 Mystery of the Celts http://www.frankfurt[...]
[18] 문서 McIntosh
[19] 문서 McIntosh
[20] 문서 Cunliffe 1997
[21] 문서 Green
[22] 문서 Garrow
[23] 문서 McIntosh
[24] 간행물 Herodotus on the Source of the Danube
[25] 문서 The Archaeology of Celtic Art Routledge 2007
[26] 문서 Megaw
[27] 웹사이트 Swisstopo map (1931) https://s.geo.admin.[...]
[28] 문서 Megaw
[29] 웹사이트 Digital reconstruction of the Manching oppidum https://qph.cf2.quor[...]
[30] AV media Reconstruction of the Zavist oppidum https://www.youtube.[...] 2022
[31] AV media 3D reconstruction of Corent oppidum, France https://www.youtube.[...]
[32] 웹사이트 Digital reconstruction of Acy-Romance https://www.youtube.[...]
[33] 웹사이트 Acy-Romance https://archeologie.[...]
[34] 웹사이트 Digital reconstruction of the Heidengraben oppidum https://www.youtube.[...]
[35] 웹사이트 British Museum – The Witham Shield https://www.britishm[...]
[36] 논문 "[A] striking homogeneity of the Y-chromosome lineages could be observed, all of them corresponding either to R* or R1b (M343) haplogroups... [W]e consistently found in our Iron Age samples R*/R1b paternal lineages that are linked to the massive migration from the steppes and dated to the Late Neolithic-to-Bronze Age transition (Haak et al., 2015). This migration was responsible for an impressive genetic turnover in the European populations, with Neolithic haplogroups being replaced by new paternal (R1a and R1b) lineages originating from the eastern regions..."
[37] 문서 ヤストルフ文化は北ヨーロッパのローマ以前の鉄器文化の南端にあたる。
[38] 서적 European prehistory: a survey https://books.google[...]
[39] 웹사이트 Mystery of the Celts http://www.frankfurt[...]
[40] 서적 The Archaeology of Celtic Art Routledge
[41] 웹사이트 frankfurt,kultur,highlights,mystery of the kelts http://www.frankfurt[...]
[42] 서적 図説ケルト 東京書籍 2000-06
[43] 웹사이트 The Witham Shield http://www.britishmu[...]
[44] 웹사이트 Treasures Of The Celtic Causeway - The Fiskerton Log Boat http://www.24hourmus[...]
[45] 웹사이트 Chertsey Shield http://www.britishmu[...]
[46] 문서 Garrow, Ch 1 and 2
[47] 문서 Or just "La Tene" in English. More rarely also spelt "Latène" (especially in French adjectival forms) or "La-Tène". In German ''Latènezeit'' or ''La-Tène-Zeit'' equate to "La Tène culture"
[48] 문서 Megaw, 9-16; Green, 11-17
[49] 문서 Megaw, 228-244
[50] 문서 Laing, Chapter 3, especially 41-42
[51] 웹사이트 Geschichte der Chronologie der Späten Eisenzheit in Mitteleuropa und das Paradigma der Kontinuität https://www.gko.uni-[...] Leipziger online-Beiträge zur Ur- und Frühgeschichtlichen Archäologie 30 (2008). 2020-07-13
[52] 웹사이트 Mystery of the Celts https://web.archive.[...] 2010-01-15
[53] 문서 McIntosh, 89
[54] 문서 McIntosh, 89-91
[55] 문서 Cunliffe 1997:66.
[56] 문서 Green, 26
[57] 문서 Garrow, chapter 2; Laing, chapter 4; Megaw, chapter 6
[58] 저널 Herodotus on the Source of the Danube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